운동을 하거나, 등산 또는 자갈길 등을 다니다가 발목을 삐끗하시는 경험 많이 있으시죠.
이런 손상들을 우리는 흔히 염좌라고 진단을 합니다. 즉 염좌라는 것은 인대의 부분손상 또는 파열 등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고 관절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경우 정형외과나 한의원에서 치료를 받으시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인대 또는 건의 손상에 효과적인 한의학의 치료방법 중 하나인 가열식 화침에 대해서 소개를 드리려 합니다.
가열식 화침은 침에 열을 가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한의학에서 침에 열을 가하는 치료는 크게 온침과 화침이 있는데, 가열식 화침요법은 온침에서 변형된 치료법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온침이란 침을 놓은 뒤 침체에 뜸을 올려 뜸의 온열자극을 이용하여 경락의 뭉친 찬 기운을 풀어서 잘 소통되도록 하고, 기와 혈이 잘 돌아다닐 수 있게 하는 치료법인데 반해 가열식 화침은 손상된 인대나 건에 침을 놓고 침체에 열을 가하여 열자극을 통하여 손상된 인대를 회복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신 치료 방법으로, 급성적인 인대의 부분파열로 관절 기능이 손상되거나, 관절이 불안정해지는 경우에 쓰이는 치료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직접구나 간접구 등의 뜸이나, 온침 같은 온열작용을 하는 치료법과 가열식 화침을 비교하여 보면, 직접구의 경우 열자극이 강하여 효과는 좋으나 시술시 통증이 심하고, 뜸이 너무 크거나 시간이 과할 경우 피부에 상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간접구의 경우 통증이나 뜨거움은 적은 편이나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열자극이 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온침요법은 가열식 화침처럼 환부를 정밀하게 찾을 수 있으나 뜸에 의한 열자극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가열식 화침의 경우 치료 시 통증은 발생할 수 있으나 환부를 정확하게 찾아서 적절한 열자극을 할 수 있으며, 치료 이후 즉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열식 화침은 이학적 검사를 통하여 인대나 건 등의 손상여부를 확인한 뒤 치료하고자 하는 손상된 부위에 침을 자입하고 침체에 열을 가하는 방법으로, 인대와 건 등 결합조직의 파열로 인해 나타나는 질환에 열자극과 물리적인 자극을 통하여 손상된 조직의 탄력성과 운동성을 회복을 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직 많은 분들이 가열식 화침이라는 치료법에 대해서 생소하고 낯설게 느끼실텐데요, 학계에서는 최근 가열식 화침을 방아쇠수지, 무릎의 내측측부인대, 천장인대와 장요인대, 발목의 염좌에 사용하여 효과를 보인 임상논문들이 발표되었으며, 현재도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서 쉽게는 발목의 염좌부터, 무릎 또는 다른 부위의 인대 및 건질환에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치료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인대와 건의 손상에서 주로 초기 고정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는 오랜 고정치료는 관절의 운동성을 약화시켜 이차적인 운동제한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수술할 정도가 아닌 염좌의 경우 가열식 화침을 통하여 손상된 인대나 건을 치료를 하면 조기에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증상의 호전은 물론 운동성 회복에도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꿈치 통증은 운동선수만 생기나요? (0) | 2013.07.12 |
---|---|
혹시 나도 VDT 증후군? (0) | 2013.07.12 |
교통사고 이후에 목이 아프신가요? (0) | 2013.07.12 |
척추관 협착증 (0) | 2013.07.11 |
흉곽출구증후군? 손이저리신가요? (0) | 2013.05.02 |